미술사논단

논문검색home > 미술사논단 > 논문검색

논단
미술사논단55 호
제목
복수의 제국, 파인애플
원어 제목
Pineapple and the Plural Empires
주제 분류
자료 유형
학술논문
저자
문정희 文貞姬   지음
발행일자
2022.12.31
기본언어/원문언어
한국어/한국어
수록면/분량
111-133쪽 / 총 23쪽
국문초록
본 논문은 대만에서 '펑리(鳳梨, fengli)'라고 불리는 파인애플이 서구 제국의 통해 발견되고 중국의 고전제국을 거쳐 일본 근대제국의 파인애플로 거듭 나게된 점에 주목하여 복수의 제국의 관점에서 이를 고찰한 것이다. 현시점에서 대만의 '펑리'가 중국으로 수입되면 파인애플의 중국식 명칭인 '보뤄(菠蘿, boluo)'로 전치(transposition)되는데, 이는 양안의 차이(distinction)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특히 20세기 제국주의 구도 속에서 원래 남아메리카 지방이 원산지인 파인애플이 하와이로 이식되고, 다시 일본을 통해 대만에 소개되면서, 유럽과 일본이 얽혀진 바다 위에서의 복수적 제국의 확장사를 드러낸다. 흥미롭게도 대만에서 파인애플은 토산물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어, 중국과 대척되는 국가 정체성을 나타내는 상징물로서 기능하기도 한다. 제국의 복수성에 의해 탄생하게 된 '펑리'는 대만 일본 통치 시기 대만에 생산된 파인애플 통조림의 상표 이미지에도 등장해 이를 통해 일본 제국이 어떻게 자신의 외연을 팽창시키는지를 보여준다. 이 상표에는 원주민을 타자화한 ‘세이반(Seiban)’과 일본 제국의 리더 '군인'이 파인애플의 이미지와 함께 그려졌는데, 이렇게 제작된 이분법적 이미지는 식민제국의 대표적인 모습으로 유통되어 그들의 대만 영토 식민화를 홍보하고 제국주의 국가로서의 브랜드 이미지를 제고시켰다. 파인애플은 일제의 식민지 관리 정책이 미술 제도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면서 다양한 미술 작품의 주제 또는 주제가 되었다. 더 나아가 정물화나 풍속화에 파인애플 이미지가 등장은 파인애플이 일반 대중의 일상 속으로 확산되었다는 사실을 반영한다.
외국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define ‘fengli (鳳梨),’ a Taiwanese Mandarin term for pineapple, with the concept of plural empires by analyzing how it was first noticed by the Western empires and rediscovered by imperial China and the modern Empire of Japan in sequence. Now, when this Taiwan-grown fengli enters mainland China, it transposes to the Chinese Mandarin term ‘boluo (菠蘿),’ emblematizing the distinction between the two sides of the Cross-Strait. Although pineapple is indigenous to South America, it was transplanted into Hawaii due to the imperialist impulses around the 20th century, and later introduced to Taiwan by the Japanese. This entangled relationship between Taiwan and imperial powers, including Europe and Japan, reveals the plural history of imperial expansion at sea. Interestingly in Taiwan, the pineapple embeds the image of an indigenous product, making it part of their national identity against mainland China. Fengli, a fruit born in the structure of plural empires, also appeared on the label of canned pineapples produced in Taiwan under Japanese rule, implying how imperialism expands its scope. Images of pineapple were accompanied by illustrations of otherized indigenous people, such as ‘seiban(lit. raw barbarians),’ and the leader of the Japanese Empire, the ‘soldier.’ These manufactured dichotomous images were distributed as the representation of the colonial empire, promoting their colonization of Taiwan territory and enhancing the brand image as an imperial nation. Pineapples became the subject or theme of various artworks, showing the influence of imperial Japan’s colonial management policies on the art system. The appearance of pineapple images in still-life paintings or genre paintings further reflects the spread of pineapple into the general public’s everyday life.
참고 문헌
키워드
제국(帝國), 복수(複數, 파인애플, 펑리(鳳梨), 세이반(生蕃), 군인(軍人) empire, plurality, pineapple, fengli, raw barbarians, soldier
PDF 문서
논단55_5_문정희.pdf